인공관절/웰튼병원
반월상연골판파열(절제술/봉합술), 관절내시경수술
술자의 정확한 판단과 노력연골판 손상을 최소화하고 기능을 최대한 보존
2018. 6. 12
01. 반월상연골판파열(무릎)의 원인과 증상
반월상연골판은 무릎관절 사이에서 위치한 섬유성 연골로 무릎관절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체중을 분산하며 관절을 잘 움직이게 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물입니다. 이러한 연골판의 손상은 무릎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인데 파열의 주된 원인은 많은 운동량으로 인한 손상과 사고 또는 퇴행성으로 약해져 별다른 이유없이 손상을 입는 경우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관절 주변의 통증으로, 지속적으로 나타나며 무릎 주변을 따라 손상된 부위에 일치하여 통증이 발생합니다. (반월모양의 연골판은 해부학적으로 무릎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각 1개씩 있습니다.) 또한 관절을 움직이는데 한계가 있고 관절이 불안정한 느낌이 들거나 힘이 빠지는 듯한 무력감이 들 수도 있습니다. 심한 경우 연골판의 조각(파편)이 생겨서 관절 사이에 끼이면 순간적으로 관절을 펴거나 구부릴 수 없는 잠김 현상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것이 특징입니다.
02. 치료 방법 (관절내시경)
반월상연골판의 손상은 무릎 관절의 퇴행성 관절염의 발생과 연관성이 크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와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아주 미세한 손상의 경우 자연적인 치유를 기대할 수도 있겠지만 재생 가능성이 없는 부위가 많고 방치할 경우 손상된 부위가 넓어져 치료를 어렵게 만들 수도 있습니다.
치료방법으로는 파열된 연골판의 위치나 양상에 따라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손상 부위를 일부 절제하거나 다듬는 절제술이 있으며 찢어진 부위를 특수한 실을 이용하여 꿰매어 원형을 보존하는 봉합술이 있습니다. 파열된 부위가 크지 않고 연골판의 재생 가능성(혈액공급이 잘 이루어지는 부위, 변연부)이 있는 부위는 절제술이 아닌 봉합술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관절내시경은 수술부위에 1cm이하의 작은 절개 입구를 통해 소형 카메라를 직접 삽입하고 병변 부위를 치료하는 매우 정확하고 효과적인 치료방법입니다. 특히 무릎, 어깨, 발목 등 관절 치료에 크게 각광받고 있으며 치료를 위한 다른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수술방법들과는 달리 시간이 짧고 환자의 회복이 빠르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03. 절제술과 봉합술
절제술의 경우 비교적 치료 방법이 용이하고 복귀가 봉합술보다 빠른 장점이 있으나 절제된 연골판의 양이 불가피하게 많은 경우 정상인에 비해 연골 손상이나 관절염이 빨리 올 수 있습니다. 관절의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판의 면적이 줄어들면서 남아있는 연골판에 가해지는 스트레스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봉합술은 연골판을 절제하지 않고 보존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지만 수술이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고난이도의 테크닉이 필요하기도 합니다. 또한 봉합을 했을때 혈액공급이 잘 이루어지는 부위로 재생 가능성이 있어야 하는 제한적인 면도 있습니다.
반월상연골판은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무릎 관절에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하고 있습니다. 적절한 치료 시기를 놓치면 손상 부위가 넓어져 치료 과정이 어려워 지거나 절제해야 하는 연골판의 양이 많아질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될 시 정확한 검사를 통해서 질병을 예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퇴골두무혈성괴사는 무슨 질병인가? 그리고 치료방법은? (0) | 2018.11.26 |
---|---|
고관절수술 인공관절치환술(대퇴골두무혈성괴사) (0) | 2018.07.03 |
고관절 골절 치료,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0) | 2018.06.05 |
근육힘줄보존 고관절 인공관절수술 (0) | 2018.05.01 |
통증, 운동장애 치료 무릎인공관절 무릎수술 (0) | 2017.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