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인공관절수술 (근육힘줄보존)
2018-12-07
웰튼병원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이란?
고관절 인공관절수술이란 질환으로 손상된 고관절(대퇴골두, 비구)의 일부를 제거하고 특수한 재질로 제작된 인공관절을 대체 삽입하여 새로운 관절을 만들어 주는 수술을 말한다. 인공관절은 본래의 고관절은 아니지만 심각하게 손상된 관절을 새로운 관절로 대체하여 극심한 통증과 운동 장애를 근본적으로 해소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술 합병증이 적고 고관절의 기능을 거의 대부분 복원할 수 있어 결과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수술이기도 하다.
[ 인공관절 수술과정 ]
♣ 근육힘줄보존 인공관절수술
근육힘줄보존이란 수술 시 외회전 근육의 힘줄들을 자르지 않고 보존하여 수술 후 탈구의 위험 없이 조기재활과 빠른 회복을 가능하게 해주는 수술법이다. 외회전근은 고관절의 외회전 운동 시 작용하는 근육들로 고관절 주변을 감싸고 있어 관절의 안정성에 크게 기여를 한다. 일반적인 수술의 경우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힘줄(외회전근)을 자르고 수술을 진행하며 인공관절 삽입 후 재봉합을 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한 번 절개된 힘줄들과 약해져 있는 주변 조직들로 인해 수술 초기 탈구의 가능성은 매우 높아지게 된다.
[ 웰튼병원 근육힘줄보존술: 외회전근 ]
탈구의 위험성
탈구는 수술 후 불안정한 상태의 대퇴기구가 관절 밖으로 빠지는 현상이다. 수술 후 재수술의 가장 큰 원인이기도 하며, 의료기술과 기구들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수술 후 2~3개월은 탈구의 가능성이 높고 일부 특정한 자세에서는 그 위험성이 매우 높아져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6주간의 절대 안정기간이 필요하고 수술 초기에 자유롭게 움직이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특정한 자세뿐만 아니라 앉기나 화장실 이용과 같은 대부분의 행동들에 제약을 받는다.
[ 인공관절 탈구: X-ray 사진 ]
♧ 근육힘줄보존이 탈구를 예방하는 이유
한마디로 말하면 안정성이다. 고관절은 본래 매우 견고한 관절로 여러 근육과 힘줄, 관절낭 등의 주변 조직들로 튼튼하게 감싸져 있다. 이러한 주변 조직들의 손상을 수술 시 최소화하고 복원을 잘하는게 안정성 유지에 매우 중요하다. 특히 잘랐다 재봉합한 외회전근의 힘줄들은 완전히 회복되기 전까지 시간과 주의가 필요할 수 밖에 없다. 근육힘줄보존술은 이러한 힘줄들을 훼손시키지 않고 보존하는 수술로 본래의 안정성을 그대로 유지하여 탈구의 위험을 예방한다.
☞ 일반적인 탈구율: 1~9% (평균 3%)
☞ 웰튼병원 탈구율: 0.2~0.3% (2007~2017년)
[ 탈구율 비교 ]
♣ 탈구를 예방한 효과
탈구의 위험을 예방한 효과는 생각보다 매우 크다. 먼저 힘줄의 손상이 없기 때문에 6주간의 절대 안정기간이 불필요하다. 무리하게 탈구에 매우 위험한 자세를 취해서는 안되겠지만 대부분의 행동이 자유롭고 재활이 빠르다. 고관절 수술에 조기재활이라는 개념은 없다. 조기재활이 모든 회복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지만 고관절 수술에서 수술 후 안정을 유지하는게 최우선이기 때문에 수술 초기 재활이라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다. 모두 탈구의 위험 때문이다.
탈구의 위험이 없기 때문에 조기재활과 바로 걷기가 가능하며, 목발 없이 걸어서 퇴원할 정도로 회복이 빠르다. 이것이 바로 근육힘줄보존으로 탈구를 예방한 가장 큰 효과이다.
'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웰튼병원 송상호 병원장, 인공관절치환술 1만례 달성 (0) | 2019.01.29 |
---|---|
무릎 인공관절 수술 (인공관절치환술): 후방 십자인대와 뼈 보존 (0) | 2019.01.28 |
반월상연골판 파열, 무릎연골수술 해야할까? (0) | 2018.12.07 |
대퇴골두무혈성괴사는 무슨 질병인가? 그리고 치료방법은? (0) | 2018.11.26 |
고관절수술 인공관절치환술(대퇴골두무혈성괴사) (0) | 2018.07.03 |